결합확률밀도함수 예제 4번 피어슨 실험공식 마할라노비스 거리 베이즈 정리 변화율 공식 전확율 공식

미분

적분

확률

문제

  1. 동전을 세 번 던지는 실험의 표본공간
  2. 공정한 주사위 두 번 반복해서 던지는 게임에서 나온 눈의 수에 대한 표본공간
  3. 카드 한장을 뽑는 게임을 할때 표본공간

확률변수

확률 질량함수는 모든 실수 x에 대해 f(x)>=0이어야하고 f(x)를 모두 더한 값은 1이어야 한다. 분포함수에서 P(X=x)=F(x)-F(x-)이며 만약 분포함수의 그래프가 연속이면 P(X=x)=0이다.

E(aX + bY) = aE(X) + bE(Y)이고, X와 Y가 독립인 경우 E(XY) = E(X)E(Y)

p급수

체비쇼프 부등식 : k>1일 때 P(μ-kσ <= X < μ+kσ)의 하한값은 1-1/k²이다.

표준화 확률변수의 평균(μz)은 0이고 분산(σ²z)는 1이다. Var(X) = E(X²) - E(X)²

문제 (x)²+(x-1)²+…+(x-100)²의 최소값은 x가 평균값일때 공장을 어느위치에 놓아야하는 문제는 중앙값으로 풀면됨 만약 |x|+|x-1|+…|x-100|일 때 x=50일 때 최소값

*피어슨의 실험공식(단봉형)

결합확률분포

상태공간 안에 모든 x,y에 대해 f(x,y)=fX(x)fY(y)이 성립하면 독립이고, 아니면 종속이다. 결합확률분포도 쌍마다 독립이 존재한다. 두 개 이상의 확률변수가 독립이고 항등분포를 이루면 i.i.d. 확률변수라고 한다.

이산확률분포

연속확률분포

기술통계학